[HOT 클릭 10선] 2022년 디멘시아뉴스 독자들이 가장 많이 본 기사는?
[HOT 클릭 10선] 2022년 디멘시아뉴스 독자들이 가장 많이 본 기사는?
  • 조재민 기자
  • 승인 2022.12.27 17: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2년 치매국가책임제를 시행했던 문재인 정부의 임기가 끝나면서 새로운 윤석열 행정부가 시작됐습니다. 노인복지와 치매 정책의 수많은 변화가 예상된 가운데 새로운 치매 신약의 개발 소식과 산업의 변화 등이 활발하게 일어난 한해였습니다. 디멘시아뉴스는 2022년도 여느 해와 마찬가지로 치매 관련 정책과 사회, 산업을 집중적으로 다뤄왔고, 독자분들은 다양한 뉴스에 관심을 보여줬습니다. 그중 특히 많은 관심을 받았던 뉴스들을 정리해 봤습니다.

◆[정책과 제도] 치매 관심 높아졌지만…치매환자 투표는 인식 '태부족'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하는 대선을 10여 일 앞두고 투표에 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고조됨에 따라 치매환자의 투표권 행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치매친화 정책을 약속한 후보가 당선될 때 치매환자와 가족들에게도 밀접한 영향을 주는 만큼 투표권의 행사가 중요한 의미가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선을 앞두고 많은 독자의 이목을 끌었습니다.

◆[치매와 사회] "미검증 치매 예방주사 처방 여전"…피해 주의보 

일부 개원가에서 치매 예방주사라는 이름을 내걸고 검증되지 않은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는 고발성 기사입니다. 치매 예방주사의 경우 전문적 연구를 통해 효과가 검증된 사례가 없습니다. 뇌 기능 개선이나 기억력 증진 등 일부 개선 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이 같은 효과가 치매 예방을 보장하거나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지 않습니다. 

◆[정책과 제도] 치매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사업효과 평가 의구심 '여전'

의료계의 반대에도 여전히 서울시 한의약 건강증진사업이 지속하고 있습니다. 임상적 의미는 적지만 참여자들의 수요와 만족도가 있다는 게 이유입니다. 해당 사업을 계속 영위하는 게 옳은가에 대한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치매의 경우 근원적 치료제가 없고 발병에 대한 두려움은 큽니다. 그렇기에 고령층의 치매 복지 수요가 많지만, 사업 참여 만족도가 꼭 임상적 효과를 보장하진 않습니다. 

◆[정책과 제도] 65세 이상 치매 유병률 10.33%…. 관리 비용 18조7,200억 원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2021년 65세 이상의 치매 유병률과 관리 비용을 각각 10.33%와 18조7,20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국내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은 치매를 앓고, 이들을 관리하기 위한 비용은 19조 원에 가깝다는 이야기입니다. 2021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총 857만 7,830명, 이 중 추정 치매환자 수는 88만 6,173명으로 확인됐습니다. 

출처. 중앙치매센터
출처. 중앙치매센터

◆[치유와 미래] 최초 타우 표적 치매 신약 탄생 예고 "HMTM 언베일링"  

신규 '타우 응집체 표적 신약 후보물질(Hydromethylthionine mesylate, HMTM)'에 대한 3상 임상 결과를 예고한 기사입니다. 전체 임상 결과를 근거로 한 분석 데이터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높은 기대치가 확인됐습니다. 해당 후보물질의 경우, 상업성을 높이 평가한 국내 바이오테크가 2년 앞서 판권 계약을 체결한 신약 파이프라인이 이유도 큰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싱가포르 소재 중추신경계 치료제 전문 개발사인 타우알엑스(TauRx Pharmaceuticals)가 타우 표적 신약 후보물질 'HMTM'의 3상 임상 결과, 합격 평가를 받아 많은 독자의 흥미를 유발했습니다. 

◆[치유와 미래] 2022년도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 현황 

2022년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현황을 다룬 기사입니다. 전 세계 알츠하이머 환자는 현재 5,000만 명으로 추산됩니다. 알츠하이머 환자가 급증함에 따라, 예방, 발병 지연, 증상 개선을 위한 치료제 개발도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미국 네바다 의과대학 제프리 커밍스(Jeffrey Cummings) 교수는 2014년도부터 알츠하이머 치료제 임상시험 분석결과를 해마다 발표하고 있습니다. 2022년 1월 25일을 기준으로, 143개 후보물질을 대상으로 172개의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이는 2021년도(126개 후보물질, 152개 임상시험)보다 소폭 증가한 수치입니다. 

◆[정책과 제도] 치매 지원 제도 알고 꼭 챙기세요! …연말 정산 등 '풍성' 

고령 인구 증가로 치매 유병률이 덩달아 늘면서 이를 지원키 위한 국가 치매 지원 제도도 다양화되는 추세입니다. 치매는 개인이 아닌 국가와 사회 구성원 모두가 책임져야 한다는 것에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국가지원도 함께 늘어나는 것입니다. 치매환자와 가족의 부담 경감을 위해 마련된 다양한 지원 제도를 알고 놓치는 사례를 줄일 수 있도록 다각도의 홍보와 지원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보건복지부.

◆[치유와 미래] 식약처, 젬백스 치매치료제 GV1001 임상 3상 승인 

젬백스가 치매치료제로 개발 중인 GV1001에 대한 임상 3상을 승인을 받았습니다. 이번에 허가받은 임상의 대상 질환명은 중등도에서 중증의 알츠하이머병으로 전체시험 대상자 수는 936명입니다. 앞서 젬백스는 GV1001의 3상 임상 계획서를 제출했으나, 식약처는 두 번이나 임상 승인을 반려했습니다. 두 번의 보완을 거쳐 비로소 3상 승인을 받으면서 독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치매와 사회] 코로나 장기화…요양병원 입원 치매환자 가족 불만 증폭 

코로나가 만 2년여로 장기화됨에 따라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한 고강도 방역대책들이 이어졌습니다. 이에 치매환자 가족들의 불만이 증폭됐습니다. 치매로 부모의 돌봄 제공이 원활하게 이뤄지는지 등에 대한 우려감이 높지만, 면회 금지가 상당기간 누적되면서 청와대 청원까지 이어졌습니다. 

◆[정책과 제도] "가족요양비 및 치매휴가제 개선" 장기요양보험 고령화 대비 분주 

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노인복지 정책의 핵심축인 장기요양보험 제도의 개선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올해는 가족요양비의 인상과 치매휴가제의 연간 일수가 확대됐습니다. 해당 기사는 치매 지원과 돌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을 보여줬습니다. 

<기자들이 뽑은 기사>

▲|기획| 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한방 치매약, 이대로 괜찮을까?

▲|포커스| 흔들리는 '베타 아밀로이드 가설'…찻잔속 태풍일까 

▲[기획-1] 올해 주목할 만한 국내사 치매치료제 라인업은?

▲파킨슨병 정복에 '중간엽 줄기세포' 주목…임상 12건 진행

▲치매 전단계 경도인지장애가 경증 질환이라고? "분류체계 고민할 시점

▲치매 전문제약사 '장기지속 주사제' 개발 눈독 들이는 이유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