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국가책임제…치매전문인력-전담형 요양기관 상승 ‘견인’
치매국가책임제…치매전문인력-전담형 요양기관 상승 ‘견인’
  • 조재민 기자
  • 승인 2020.06.25 17: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매전문인력-치매전담 요양기관 시설수와 종사자 등 확대 영향

치매국가책임제가 치매전문인력과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 시설수 등 주요 치매 인프라의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책임제가 본격 추진된 2018년과 2019년 치매전문교육 수료자는 2만2,211명에서 3만6,510명으로 1만4,299명 증가했으며, 치매전담형 기관과 종사자들 역시 크게 증가했다.

최근 보건복지부는 ‘2020 노인복지시설 현황’을 통해 전국 시군구 노인복지시설과 치매 관련 시설, 인력 현황 등을 공개했다. 

해당 자료는 전국 시군구에 신고 된 노인복지시설의 수, 입소정원, 종사자 수 등을 집계해 노인인구 대비 적정 시설수요와 충족율을 분석하고 정책수립과 평가의 기초자료 활용하기 위해 매년 발간된다. 

치매 인프라의 증가는 국가책임제로 치매안심센터의 전국적 개소와 함께 인지지원 등급신설과 치매 지원 정책이 증가함에 따라 동반된 상승이라는 분석이다. 

먼저 치매전문교육 수료자 인력이 크게 증가했는데, 이중 경기도의 배출 인력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경기도는 지난 2018년 총 5,651명의 전문교육 수료자를 배출했고, 2019년에는 7,108명이 전문 교육을 수료했다. 반면 서울의 경우 2018년 5,592명에서 19년 1,705명으로 줄었다.

다만 전국적인 전문교육 수료자 현황을 보면 큰 폭으로 상승한 수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 시설과 최대정원 증가에 따라 입소인원도 증가했다. 

2018년 전국의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은 총 74개였던 반면, 2019년에는 220개까지 대폭 늘었다. 기관수 증가에 따라 입소 정원도 1,295명에서 3,076명으로 늘었다. 

종사자 역시 요양보호사 447명과 프로그램 관리자 90명 총 537명에서 요양보호사 960명과 프로그램관리자 206명으로 총 1,166명으로 늘었다. 

세부 기관별로 보면 노인요양시설 내 치매전담실이 42개에서 112개로 늘었고, 치매전담형 공동생활가정은 3곳에서 25곳으로 늘었다. 치매전담형 주야간보호시설은 29개에서 83개로 증가했다. 

치매국가책임제 실시로 노인요양시설과 전문교육 수료 종사자 증가 이외에도 실버산업과 각종 치매 예방과 진단, 관리 부분에도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