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섬유화 측정 통해 치매 조기진단 활용
단백질 섬유화 측정 통해 치매 조기진단 활용
  • 조재민 기자
  • 승인 2020.04.06 18: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초과학연구원, “분광학 이용해 치매 지수 정량화”
IBS가 개발한 치매지수(DQ)로 아밀로이드의 섬유화 단계를 0과 1사이로 표시

치매의 원인인 단백질 섬유화 정도 측정을 통해 치매를 조기진단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분광학을 이용해 치매 지수를 정량화 할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인데, 상용화 시 치매 조기진단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는 평가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 이영희 단장 연구팀은 분광학을 이용해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섬유화 진행 단계를 측정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치매 원인 물질로 지목되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은 세포막에서 잘려 나와 세포 밖에 쌓여 독성을 일으키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이를 타깃으로 한 치매신약이 수차례 실패하면서 유력설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지만, 여전히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치매 증상 시 문진으로 인지행동능력 검사하고, 방사성 동위원소표지법(PET)으로 단백질  확인하는데 이는 증상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만 진단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치매 환자의 뇌에서 서로 뭉쳐 섬유화한 베타-아밀로이드 분자가 배출된다는 점에 착안해 분광법을 이용해 섬유화 정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정상 뇌의 베타-아밀로이드 분자는 단량체 수준으로 짧지만, 치매에 걸린 뇌에서는 단량체가 모여 섬유화하면서 중합체를 이룬다.  분자가 섬유화하면 독성을 띠고 분자 내 전하 분포도 달라진다.

연구팀은 테라헤르츠 빛 분광 기법을 이용해 베타-아밀로이드 단량체와 섬유화한 중합체의 전하 분포를 측정에 성공했다. 

테라헤르츠 빛 분광 기법은 적외선보다 파장이 길어 X선처럼 물체 내부를 높은 해상도로 식별할 수 있는 빛을 일컫는다. 연구팀은 실험에서 얻은 전하 분포 수치를 섬유화 정도로 변환하고 이를 '치매 지수'(DQ)라 표기했다. 

치매 지수는 독성을 띠지 않는 단량체를 0, 독성을 띠는 섬유화 복합체 상태를 1로 구분했다. 베타-아밀로이드의 섬유화 진행 상태를 0과 1 사이의 수치로 표시한다.

주위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시료 용액 내에서 측정할 수 있어 뇌척수액과 혈액 등 체액에서도 절대적인 섬유화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이영희 단장은 "지능지수와 감정지수처럼 단백질 섬유화를 물리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치매 지수를 개발했기 때문에 치매 조기 진단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해당 연구는 국제 학술지 '미국 화학회 나노'(ACS Nano) 지난달 13일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