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요양기관 수 급증에도 치매전담형 기관은 '뒷걸음질'
장기요양기관 수 급증에도 치매전담형 기관은 '뒷걸음질'
  • 최봉영 기자
  • 승인 2019.11.13 17: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야간보호·방문요양 기관 등 대폭 증가

치매국가책임제 시행 이후 주야간보호센터나 방문요양 등 치매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수가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치매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의 수는 오히려 감소했다.

최근 보건사회연구원 유재언 부연구위원은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치매관리정책 보고서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에는 2018년과 2019년 치매서비스 제공기관 현황 변화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조사는 치매관리사업을 총괄하는 중앙치매센터 홈페이지의 치매시설정보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조사기관으로는 치매안심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치매협약병원과 요양병원, 장기요양기관, 노인돌봄종합서비스 등이 포함됐다.

서비스 기관별 현황을 보면, 치매국가책임제가 시행된 지 1년 만인 2018년 이후에는 전국의 모든 시·군·구에 치매안심센터가 설치, 운영됐다.

요양병원은 사립의 비율이 훨씬 더 높기는 하지만 2019년 8월 기준으로 1년 전보다 100개 이상이 늘어나 1,622개(공립 79개, 사립 1,543개)가 운영되고 있다.

치매협약병원의 경우 병원급이 42개 감소했지만(189개 → 147개), 나머지 종합병원급, 요양병원급, 의원급에서는 각각 18개, 20개, 17개 증가했다.

장기요양기관은 재가와 시설 모두 급증하는 추세이며, 그동안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았던 주야간보호기관이 613개(2,188개 → 2,801개) 늘어난 것도 두드러진다.

하지만 치매와 관련해 가장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은 그 수가 아직도 매우 적었다.

세부적으로 요양시설 내 치매전담실은 29개에서 35개로 6개 증가하는 데 그쳤으며, 치매전담형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은 1개가 늘었다. 또 치매전담형 주야간보호는 13개에서 4개로 오히려 감소했다.

결론적으로 치매 노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의 수는 크게 늘었으나, 치매에 특화된 서비스 기관은 여전히 부족했다.

유 연구위원은 "치매 전문 서비스 기관의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기존 요양병원·장기요양기관·시설과 종사자들이 치매 증상에 맞춤형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치매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